2024.4.3 갱신
0.글을 보면 좋은 대상
유입한지 얼마 안되서 스토리 미는 메인 덱 하나 겨우 있고, 캐릭풀도 적은 뉴비 입장에서 보기에 적절한 글은 아닐 수 있으니 자기가 여기에 해당한다면 이런 것도 있구나 하는 느낌으로 가볍게 보는 정도를 추천
스토리 메인덱 갖추고 앨리스 육성이 끝나가거나, 티아나가/누아르블랑 조합이 모두 있고 넷 모두의 필요 스킬 스작이 7이상이라면, 굳이 이런 조건이 아니더라도 2군이란걸 짤 수 있다면 볼만함
모든 조합에는 보스 기믹에 따라, 우월코드 딜러에 따라 변동이 있을 수 있음. 사실 그냥 이 글에 쓰인 이미지대로 갈 일은 없다고 보는 편이 더 적절할 정도. 기본적인 틀을 잡는 느낌이라고 생각하면 좋음
니가 뭐라고 이런 공략글을 쓰냐, 이런 느낌으로 글이 못미덥다면 안보시면 됨
1. 티나/누블
원래 누블 조합과 티나 조합을 따로 설명하였으나, 서로 딜러를 바꿔 끼우는 경우가 꽤 잦을 듯 하여 묶어서 설명
세트니케 서포트들을 기반으로 하는 1군, 2군덱. 이들은 가장 강한 서포터 조합이며, 그에 걸맞는 최고의 딜러들을 붙여주는 걸 목표로 한다. 앨리스, 레드후드, 흑련이 단골로 조합되며, 상황에 따라 맥스웰, 클루드, 모더니아 등이 모습을 비춘다.
특히 앨리스와 흑련은 흑련이 앨리스 버프를 굉장히 잘 받아서 티나, 누블처럼 하나의 조합으로 여겨도 좋은 수준임. 상황에 따라 갈라지긴 하겠지만
최우선으로 속성 저지가 가능하도록 구성. 이후 강한 딜러에게 티나 붙여주기
이 두가지 조건을 기본으로 조합을 짜는게 기본임.


이렇게 동티나레맥, 리누블앨흑 구성을 하는게 우월코드 및 속성저지 등의 조건을 고려하지 않았을 때 가장 일반적이라고 생각하는 구성임. 다만 오버르도 옵션으로부터 비롯하는 우월코드에 의한 데미지 차이가 굉장히 크기에 기반이 갖춰져있다면 이 조합으로 갈 일은 철갑우코 때 뿐일거임. 이런식으로 조합을 구성하는구나 정도면 됨
1-1. 1버스트
D:킬러 와이프(이하 동탄D)의 등장으로 판이 바뀌었다. 볼륨은 그저 버쿨감 셔틀이었기에 리타 붙이는게 유지력 면에서나 화력 면에서나 무조건 앞섰음. 그러나 동탄D는 꽤 준수한 서포팅 능력에 리타보다 잘 돌아가는 버스트 쿨타임 감소 등의 장점을 가졌으며, 관통스나 한정이지만 리타를 능가하기까지 하여 앨리스나 레드후드의 딜 비중이 큰 쪽으로 동D를 붙이면 되겠다
작열우코 상황을 가정하면 앨리스가 원탑딜러이기에 동티나맥을 몰아주고, 누블에 리타를 붙이고 레드후드와 모더니아를 딜러로 하여 동티나앨맥, 리누블레모 조합으로 완성
철갑우코 상황을 가정하면 레드후드가 원탑딜러. 동티나레맥에 리누블앨흑. 이런식임
둘의 딜 차이가 크지 않다면 리누블, 동티나로 구성하여 엄폐물 회복을 나누는게 일반적일듯
2. 도수프
도수프 조합은 도로시의 막탄 버쿨감 + 프리바티의 장탄감소
수니스의 막탄 스킬뎀 + 프리바티의 장탄감소
를 기반으로 도로시-수니스-프리바티를 엮어 크게 두가지 바리에이션이 있다
2-1. 도비수프


도로시-수니스라는 지원형 딜러 둘에게 어울리는 지원형 공격력 증가를 지녔으며, 전격 코드로 수니스와의 궁합도 좋은 비스킷을 얹음. 비스킷은 지원형 흡혈 및 엄폐물 부활 등 여러 유지력 관련 요소도 갖추고 있는 최적의 인재
수니스의 전격 코드 아군 재장전 감소 + 프리바티의 재장전 감소 + 재장전 큐브 3레벨 이 셋이 더해져 전격 코드 아군은 풀버타임에 무한탄창이 된다. 비스킷은 무한탄창 톡톡이로 딜량도 준수한 편
런처로 파츠를 때리기 용이한 경우 및 안정감을 요구하는 레이드에선 도비수프 쪽이 강세(+홍련도 아낄 수 있음)
마지막 한 자리는 도로시의 분배데미지를 끌어올려주며, 지원형 전격이라 수니스 비스킷과도 궁합이 좋은 일레그가 들어가기 가장 좋음. 다만 수냉/전격 이외의 속성저지를 요구하는 경우에 다른 2버스트 니케로 얼마든지 대체가 된다. 가능하다면 지원형 니케로 편성하여 비스킷의 지원형 흡혈 및 공증을 받을 수 있도록 하는 편이 좋다
디시 승리의 니케
2-2. 도말홍수프


도말홍수프 조합. 도수프에 홍련이라는 전격 코드 딜러를 넣고, 남은 2버스트 자리에 마르차나를 넣어 유지력을 보강한 느낌으로 짜여진 조합이다
비스킷과 마찬가지로 홍련이 재장전이 없어지며, 부위파괴가 중요하지 않은 경우엔 이쪽이 도폴비수프보다 대체로 강하다고 할 수 있다(큰차이는 안남)
다만 엄폐물 관리가 불가능하고 버스트를 수동컨으로 채울 여지도 없다는 단점이 있다. 속성저지가 흔해진 현재의 솔로레이드 메타에선 작열이나 풍압을 요구하는 경우에 꼼짝없이 밀려날거
2-3. 수니스 대체 안됨
진짜 안됨. 수니스가 없으면 도수프가 기반이 아니라 도로시-프리바티만을 기반으로 해서 프리바티의 버프(재장전 감소, 장탄 감소)와 어울릴만한 딜러를 적절히 넣고 힐러를 하나 넣으면 됩니다. 도로시-프리바티가 제공하는 버프와 특별히 어울리는 딜러가 없다면 그냥 대충 짬딜러 넣어도 좋음. 어울리는게 아니라면 도로시 프리바티는 좋은 딜러를 꼭 붙여주어야 할만큼 좋은 서포터 구성이 아님

예시구성)
홍련=프리바티 버프 잘받음
맥스웰=무기 바꿔서 한방 강하게 때리는 느낌의 딜러에 관통도 있으니 도로시의 파츠뎀증가도 잘 써먹고, 장탄 관련 요소를 제외한 프리바티의 공격력만을 써먹기도 하함
클루드=머신건이지만 본인 버스트에 재장전 감소가 있으니 예열이 끊기지 않아 역시너지가 나지 않음
다시 말하지만 이렇게 구성이 된다고 해서 수니스 자리를 대체할 수 있다는게 아님
3. 백설


3-1. 백율

스노우 화이트라는 니케는 사실상 버스트가 딜의 전부라고 해도 과언이 아닌데, 30초 중 단 5초 게임 내 최고의 공증을 부여하는 율하가 이에 딱 들어맞아 함께 사용한다. 백율을 기본으로 했을 때, 결국 버프는 백설에게만 잘 들어가면 되기에 범용성이 떨어지는 1인 버퍼인 미란다, 버스트 쿨감 요원인 도라(전격보스 상대시엔 수헬름)를 넣어 구성한 미도백율이 가장 많이 쓰인다. 남은 한자리는 유지력을 위한 헬름 혹은 노이즈가 들어가는 편.
특징이라면 난이도가 높다. 안정적인 버스트 사이클을 위해 도라, 율하, 헬름 중 둘 사이를 왔다갔다 하며 쉬지않고 톡톡이로 버스트를 충전해줘야 하고, 인게임 타이머 29초, 59초에 맞춰 스노우화이트 버스트를 발사하는걸 기본으로 하기에 초보자는 다루기에 어려울거
의외로 가성비 덱이다. 딜러 자원은 백설 하나만 쓰고, 스킬작도 미란다 144, 도라 441, 율하 171, 헬름 444정도가 기본으로 요구되며, 오버로드는 백설만 하면 되기에 그럼
디시 승리의 니케

동탄D 등장으로 1버스트 버쿨감 요원이 하나 더 생겼는데, 그 수혜를 받아 리타나 볼륨을 백설덱에 넣어 사용할 수 있기도 함. 2버스트 자리엔 굉장한 수치의 받뎀증을 부여하는 노벨이 일반적
어떻게 보면 리타, 노벨, 율하 모두 5초 버프이고 백설도 차징 시간이 5초이기에 가장 고효율로 버프를 활용하는 방법이기도 하다. 그런데 발동 타이밍이 다소 늦은 노벨이나 버스트와 상관없이 5초인 율하와 달리 1버스트 사용부터 5초간만 공증을 부여하는 리타이기에 백설이 오버로드나 큐브 등으로 차속을 갖추어야 함(칼같이 쏜다면 10퍼정도). 차속이 모자라다면 얄짤없이 풀차지 불가능
3-2. 백맥

보스전에서 이상적인 백설의 버스트 발사 타이밍이 율하 버프 타이밍과 맞지 않는 경우에 많이 채용함. 아니면 백율이 어려워서 못쓰겠다 하면 백맥을 사용해도 괜찮음. 백맥 또한 백율처럼 리타-노벨 혹은 볼륨-노벨과 함께 사용해도 좋음. 맥스웰도 버프를 받고 딜러로 활약하기에 좋음
4. 짬덱
여기부터는 정형화된 구성이랄게 딱히 없다. 위에서 안 쓴 딜러중 좋은 딜러 조합해서 쓰면 되는거


이런 저런 구성이 가능하다. 전부 예시조합이고 말 그대로 짬덱임. 위에서 안 쓴 딜러 모아두는 자리
수어리 자리에 페퍼도 가능하고, 힐량만 충분하다면 다른 힐러도 얼마든지 OK. 노벨도 적당한 2버스트 아무거나 들어갈 수 있는 자리
4-1. 사노마뚜홍(사쿠라-노이즈)

이거 알면 사실 할배라 자세한 설명은 생략함. 홍련자리에 길로틴도 괜찮고
수헬름 없는데 버쿨감 넣고싶으면 사쿠라-노이즈로 버쿨감 챙기라고 그냥 썼음
얘도 볼륨 쓸 일이 생겼다는 정도의 변화 말고는 주목할 게 없다

볼륨 쓴 버전. 스톰브링어 레이드 때 꽤 높은 딜량을 보여줬음
4-2. 샷건덱(토레메모마)

샷건덱을 제대로 활용한 최초의 레이드인 크리스탈 체임버 레이드 때 사용되던 조합. 짬덱으로 밀려난 모더니아를 버리긴 아까운 와중에, 3버딜러 자리도 애매하고 버쿨감을 넣기에도 애매한 샷건덱에 들어가 두 가지 문제를 둘 모두 반쯤 해결한 것. 마지막 자리에는 마르차나를 넣어 유지력을 챙겨줌.
앞으로도 쓸지는 모르겠음. 샷건이 워낙 보스를 많이 타는 무기군이니 알 수 없다
디시 승리의 니케
4-3. 런처덱

원래 흑련을 제외하면 고성능의 런처 딜러라고 할 만한 니케가 없기도 했고, 딱히 런처에게만 들어가는 버프를 가진 니케도 없었기에 존재하지 않았지만 런처 전용 버프를 달고 나온 렘으로 인해 덱의 가능성이 열린 상태임. 렘이 120퍼센트가 넘는 자체 공증, 그럭저럭한 힐량에 높은 수치의 런처 공증을 지녀 렘이 없다면 성립하지 않음
마지막 자리에 뭐가 들어갈지 잘 모르겠어서 그냥 넷만 남겨뒀다. 좋은 런처 딜러가 나오기만 기다리는 중(흑련은 앨리스 붙이는게 더 셈)
사견이 안 들어갔다고는 말 못하겠지만 최대한 객관적으로, 픽률 높은 조합 구성으로 쓴다고 썼음. 누구는 앨리스 흑련을 짬덱으로 내릴 수도 있겠지만 그게 보통은 아닐테니까
어차피 이 글 써도 좋은 니케 나오면 또 구성 바뀔거고, 굳이 이 글을 보고 짜는 사람보다는 점수 높게 나온 덱 카피하는 사람이 더 많을거라고 생각은 한다. 그게 더 나을 확률도 높고. 근데 덱을 구성하는 이유라든가 알고 싶어 하는 사람이 있을 수도 있고, 자기가 짜보고 싶어하는 사람도 있을 수 있으니 심심하고 할 거 없는 김에 함 써봤음